KREN

프리 라이젠을 추모하며 In honor of Frie Leysen

장(scene)으로부터 / 벗어나다(ob).
Off the scene.


2020년 첫 회를 맞이하는 옵/신 페스티벌은 오늘을 통찰하고 이를 자신만의 예술 형식으로 표현하는 작가를 소개한다. 기존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을 통해 국제 동시대예술을 함께 그려나간다.

The first edition of Ob/Scene Festival introduces artists who lead us to a critical insight on today through their own artistic language. The program will include works that transgress boundaries, thereby taking part in the cartography of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21°11’
노경애-아트엘
예약 ⟶
21°11’
Ro Kyungae-ArtEL
Reservation ⟶

10.9 금 오후 8시
10.10 토 오후 8시
10.9 Fri 8pm
10.10 Sat 8pm

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Seoul Art Space Mullae Box Theater

오후의 햇살 아래 시간이 잠들었네
메테 에드바르센
예약 ⟶

Time has fallen asleep in the afternoon sunshine
Mette Edvardsen
Reservation ⟶

10.10 토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
10.11 일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
10.17 토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
10.18 일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
10.24 토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
10.25 일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

10.10 Sat 11am–5:30pm
10.11 Sun 11am–5:30pm
10.17 Sat 11am–5:30pm
10.18 Sun 11am–5:30pm
10.24 Sat 11am–5:30pm
10.25 Sun 11am–5:30pm

문래예술공장

Seoul Art Space Mullae

그들은, 배경에 있는, 야생의 자연을 생각했다
마텐 스팽베르크

they were thinking, in the background, wild nature
Mårten Spångberg

10.10 토 오후 5시 30분
10.11 일 오후 5시 30분
10.17 토 오후 5시 30분
10.18 일 오후 5시 15분
10.24 토 오후 7시 30분
10.25 일 오후 5시

10.10 Sat 5:30pm
10.11 Sun 5:30pm
10.17 Sat 5:30pm
10.18 Sun 5:15pm
10.24 Sat 7:30pm
10.25 Sun 5pm

공공장소

Public Spaces

그들은 야생에 있었다
마텐 스팽베르크

they were in the wild
Mårten Spångberg

축제 기간 중 매일

Everyday during the festival

연재 페이지

Blog

굳굳마켓
김황

Good Good Market
Kim Hwang

10.22 목 오후 8시

10.22 Thu 8pm

장막
남정현
예약 ⟶

curtain
Nam Junghyun
Reservation ⟶

10.23 금 오후 6시
10.24 토 오후 6시

10.23 Fri 6pm
10.24 Sat 6pm

프로보크 서울(대선제분 영등포 공장)

provoke seoul(Daesun Mill Factory)

음 ———
황수현
예약 ⟶

Hmmmm
Hwang Soohyun
Reservation ⟶

10.27 화
오전 10시, 11시, 오후 3시, 4시
10.28 수
오전 10시, 11시, 오후 3시, 4시

10.27 Tue
10am, 11am, 3pm, 4pm
10.28 Wed
10am, 11am, 3pm, 4pm

덕수궁 정관헌

Deoksugung Palace, Jeonggwanheon

노 맨 II
호추니엔

No Man II
Ho Tzu Nyen

10.23 금–11.22 일
오후 6시–9시

10.23 Fri–11.22 Sun
6–9pm

덕수궁 준명당

Deoksugung Palace, Junmyungdang

공상-(no)-과학
로이스 응

Sci-(no)-Fi
Royce Ng

10.23 금–11.22 일
오전 10시–오후 6시

10.23 Fri–11.22 Sun
10am–6pm

덕수궁 함녕전 행각

Deoksugung Palace, Hamnyeongjeon Haenggak

학생의 몸
호루이안

Student Bodies
Ho Rui An

10.23 금–11.22 일
오전 10시–오후 6시

10.23 Fri–11.22 Sun
10am–6pm

덕수궁 함녕전 행각

Deoksugung Palace, Hamnyeongjeon Haenggak

화상 세미나
정/동/사/물
예약 ⟶

Web Seminar
Chronicle of Every Thing
Reservation ⟶

10.29 목
오후 7시–10시 30분

10.29 Thu
7pm–10:30pm

정동1928 아트센터 Jeongdong 1928 A&C

예매 취소

Cancellation

공연 1일 전 자정까지 예매 취소가 가능합니다.
예매 취소 신청: ob.scenefestival.official@ gmail.com ⟶
예매 취소 처리가 완료되면 메일을 발송해드립니다.

You can cancel your reservation by midnight, one day before the performance.
To cancel your reservation please write to: ob.scenefestival.official@ gmail.com ⟶
You will receive a confirmation email of the cancellation.


안전한 관람

Safety Plan

옵/신 페스티벌은 행사 진행 기간 동안 방문객 체온 측정 및 QR코드 방문자 기록으로 관람객분들의 안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관람객의 안전을 위하여 입장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고 체온 측정 및 방문 기록 작성에 협조 부탁드립니다. (마스크 미착용, 37.5도 이상 체온 측정 시 입장이 불가합니다.)

Ob/Scene Festival will abide by the COVID-19 guidelines for the safety of audiences and participants during the festival by measuring the audience’s temperature and keeping a QR Code-based visitor log. The wearing of a face mask is mandatory in all performances. (You will not be permitted to enter if your body temperature is higher than 37.5 C° and if you are not wearing a mask.)


장소

Venue

문래예술공장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8길 5-4 ⟶


프로보크 서울(대선제분 영등포 공장)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87 대선제분 영등포 공장 ⟶


덕수궁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세종대로 99 ⟶


정동1928 아트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15-5 ⟶

Seoul Art Space Mullae
5-4, Gyeongin-ro 88-gil, Yeongdeungpo-gu ⟶


provoke seoul(Daesun Mill Factory)
87, Yeongsin-ro, Yeongdeungpo-gu ⟶


Deoksugung
99, Sejong-daero, Jung-gu ⟶


Jeongdong 1928 A&C
21-15, Jeongdong-gil, Jung-gu ⟶


문의 Contact

ob.scenefestival.official@ gmail.com ⟶
유튜브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메일링 가입 ⟶
ob.scenefestival.official@ gmail.com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Twitter ⟶


크레딧 Credit

예술감독
김성희

프로덕션 총괄
김신우

프로덕션
김나영

커뮤니케이션
김보용

그래픽 디자인
슬기와 민

웹사이트 디자인
빠른손

번역
이경후

기술총괄
김연주

무대감독
김연수

음향
사운드인 글로벌(이선영)

조명
이재만

영상
(주)베이직테크(최영민)

기록물 촬영
고유희, 문소영, 박수환, 우종덕

진행
김서희, 나지경, 이주현, 장영민

협력 기관
문래예술공장, 아트 플랜트 아시아, (주)아르고스매니지먼트

주최
옵/신 페스티벌

주관
근미래우주선

후원


본 축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대한민국공연예술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습니다.

Artistic Director
Kim Seonghee

Production Head
Kim Shinu

Production
Kim Nayoung

Communication
Kim Boyong

Graphic Design
Sulki and Min

Website Design
bbareunson

Translation
Lee Kyunghoo

Technical Management
Kim Yeonju

Stage Manager
Kim Yeonsoo

Sound
Soundin Global(Lee Seonyoung)

Light
Lee Jaeman

Media
BASICTECH(Choi Youngmin)

Video Recording
Koh Yoohee, Park Suhwan, Moon Soyoung, Woo Jongduk

Coordination
Kim Seohee, Na Jikyung, Lee Juhyeon, Jang Youngmin

Partner Organization
Seoul Art Space Mullae, Art Plant Asia, ARGUS Management Co.,Ltd.

Conceived by
Ob/Scene Festival

Organized by
Near-future Spaceship

Sponsored by
Korean Art Council


This festival was facilitated as part of a program of Korean Performing Arts Festival Support by Korean Art Council

21°11’

노경애-아트엘

Ro Kyungae-ArtEL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10.9 금 오후 8시
10.10 토 오후 8시

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20,000원

10.9 Fri 8pm
10.10 Sat 8pm

Seoul Art Space Mullae Box Theater

20,000KRW


서울, 무용, 40분

사람마다 다른 몸의 선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몸의 선들은 조금씩 다르게 기울어진다.

사람마다 다르게 걷는다.
그리고 그 걸음들은 각각 다른 움직임이 된다.

뇌성마비 장애인은 비장애인과는 다른 움직임의 질감과 균형점을 가지고 있다. 근육의 경직이 독특한 움직임을 발생시키고, 중심축이 휘어진 몸은 복잡한 균형점을 생성한다. ‘불안정함’은 ‘안정함’이 가질 수 없는 운동성을, ‘불균형’은 ‘균형’이 가질 수 없는 다변성을 가진다. ‹21°11’›은 움직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서기, 앉기, 걷기, 달리기, 뛰기’ 의 행위에 집중한다. 일견 단순한 동작들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몸에 담겨 무한한 선과 움직임의 조합으로 확장될 때, 견고했던 몸과 움직임의 기준은 흔들린다.
컨셉/안무
노경애

드라마트루그
박은주

창작/공연
강보람, 김명신, 문승현, 송명규, 이민희, 천영재

음악
김창래, 장태준

의상 코디네이터
김은경

사진
박해욱

후원


Seoul, Dance, 40 min

Each body has a different line.
And each line tilts differently from another.

Each body has a different way of walking.
And each step creates different movements.

People with cerebral palsy have different movements and balance points. The muscular constriction creates unique movements, while the arched spine generates complex balance points. ‘Instability’ produces dynamics ‘stability’ cannot offer; ‘imbalance’ leads to aberrations impossible in ‘balance.’ 21°11’ focuses on actions that form the basis of a movement—standing, sitting, walking, running. These seemingly simple actions embodied in performers with a disability and those without expand to limitless combinations of lines and movements, dismantling the firm standards governing the body.

오후의 햇살 아래 시간이 잠들었네Time has fallen asleep in the afternoon sunshine

메테 에드바르센

Mette Edvardsen

‘캡틴 니모의 도서관’ 쥘 베른의 『해저 2만리』 중
©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Captain Nemo's library, illustration from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작품 소개 영상 ⟶

10.10 토
오전 11시, 오후 12시, 1시, 3시, 4시, 5시
(이하 동일)
10.11 일
10.17 토
10.18 일
10.24 토
10.25 일

문래예술공장
만남 장소: 1층 로비

사전예약 필수.
아래 4권의 책 중 택1

Introduction ⟶

10.10 Sat
11am, 12pm, 1pm, 3pm, 4pm, 5pm

10.11 Sun
10.17 Sat
10.18 Sun
10.24 Sat
10.25 Sun

Seoul Art Space Mullae
Meeting poing: 1F Lobby

Reservation required.
Choose 1 book from the following 4.


오슬로, 서울, 퍼포먼스, 30분
한국어

‹오후의 햇살 아래 시간이 잠들었네›에서 퍼포머는 살아있는 책이 되어 도서관에 소장된다. 도서관을 방문한 이들이 읽고 싶은 책을 고르면, 그 책은 독자를 도서관의 어느 장소로 데려가거나 바깥에서 산책을 하면서 자신의 내용을 암송한다.

살아있는 책의 도서관이라는 아이디어는 레이 브래드베리(Ray Bradbury)의 소설 『화씨 451(Fahrenheit 451)』에서 출발했다. 화씨 451도, 그러니까 섭씨 233도는 책이 타기 시작하는 온도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미래 사회에서는 책이 위험한 존재로 여겨져 금지 대상이 되고, 사람들은 지식과 생각이 행복을 저해한다고 믿는다. 책이 금지된 이 사회에서 어느 지하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미래를 위해 책을 보존하려고 책을 외운다. 

책을 외운다는 건 지난한 투여이자 계속되는 ‘하기’이다. 도달해야 할 결승점이나 실용적인 목표는 없다. 책 한 권을 외우는 행위는 끊임없는 기억과 망각의 과정이다. 정보와 지식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흩어지는 오늘날 가장 비효율적일 수 있는 이 활동은 몸에 기억을 각인시켜온, 몸에서 몸으로 ‘앎’을 전해온 과거의 감각을 소환한다. 그 더디고 비생산적인 움직임은 시간의 속도감을 잠시나마 늦추고 유토피아적 공간감을 만들어낸다.


살아있는 책

표류도 - 박경리
거장과 마르가리타 - 미하일 불가코프
야간비행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벨기에에서 온 편지 - 채영호
구상: 메테 에드바르센
함께: 길경하, 김보용, 김하연, 이경후
사서: 이주현
Oslo, Seoul, Performance, 30 min
Korean

For Time has fallen asleep in the afternoon sunshine a group of performers memorize a book of their choice. Together they form a library collection consisting of living books. The visitors of the library choose a book they would like to read, and the book brings its reader to a place in the library or for a walk outside, while reciting its content (and possibly valid interpretations).

The idea for this library of living books comes from Ray Bradbury’s novel Fahrenheit 451, a future vision of a society where books are forbidden because they are considered dangerous, and that happiness must be obtained through an absence of knowledge and individual thought. The number 451 refers to the temperature at which book paper starts to burn. As books are forbidden in this society an underground community of people learns books by heart in order to preserve them for the future.

Learning a book by heart is an ongoing activity and doing. However much or well you learn something by heart you have to keep practicing it otherwise you will forget it again. There is nothing final or material to achieve, the practice of learning a book by heart is a continuous process of remembering and forgetting.


Living Books

Pyoryudo(Drifting Island) -  Pak Kyongni
Night Flight - Antoine de Saint-Exupéry
The Master and Margarita - Mikhail Bulgakov
Letters from Belgium - Chae Youngho
Concept
Mette Edvardsen

With
Kil Kyungha, Kim Boyong, Hayeon Kim, Kyunghoo Lee

Graphic design print
Michaël Bussaer

Production
Mette Edvardsen/ Athome & Manyone

Co-production
Dubbelspel - STUK Kunstencentrum & 30CC (Leuven), Dance Umbrella (London), Kunstenfestivaldesarts (Brussels), NEXT Arts Festival (Valenciennes, Lille, Kortrijk, Villeneuve d'Ascq), Wiener Festwochen (Vienna), osloBIENNALEN FIRST EDITION 2019-2014

Supported by
Norsk Kulturråd

Additional support by
Fond for Lyd og Bilde, Fond for Utøvende Kunstnere, Norweg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Flemish Authorities

Special thanks to
Bibliothèque royale de Belgique/Koninklijke Bibliotheek van België, Sarah Vanhee, Els De Bodt

그들은, 배경에 있는, 야생의 자연을 생각했다they were thinking, in the background, wild nature

마텐 스팽베르크 Mårten Spångberg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지도 보기 ⟶

10.10 토 오후 5시 30분
난지한강공원 난지마리나

10.11 일 오후 5시 30분
낙산공원

10.17 토 오후 5시 30분
용산가족공원

10.18 일 오후 5시 15분
선유도공원

10.24 토 오후 7시 30분
문래예술공장 옥상

10.25 일 오후 5시
덕수궁 인근

날씨/현장상황에 따라 장소 변경 가능
최종 장소 및 안내 사항은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으로 공지

별도 예약없이 관람 가능

View Map ⟶

10.10 Sat 5:30pm
Nanji Hangang Park Nanji Marina

10.11 Sun 5:30pm
Naksan Park

10.17 Sat 5:30pm
Yongsan Family Park

10.18 Sun 5:15pm
Seonyudo Park

10.24 Sat 7:30pm
Seoul Art Space Mullae Rooftop

10.25 Sun 5pm
Deoksugung Park

Location may change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For the final location and announcements, please refer to Ob/Scene Facebook and Instagram.

No reservation required


베를린, 런던, 서울, 무용, 50분

춤이 멀리서 들려오는 노래라면 어떨까?
춤이 먼 거리에서 진동으로 느껴지는 가벼운 지진이라면 어떨까?
춤이 작은 씨앗과 생명체들의 냄새를 실어나르는 바람이라면 어떨까?

이 춤은 멀리 떨어져 함께 춤을 추려는 시도로, 두 장소가 연결되어 움직임을 공유한다. 이 춤은 먼 거리의 몸을 감각하고, 무한히 느린 속도로 출렁이는 지각판에 감응하는 춤이다. 바다의 수온층을 가로질러 소통하는 고래와도 같은 춤이며, 풀숲에서 지는 해를 보며 시간을 흘려보낼 수 있게 기꺼이 정원이 되어주는 춤이다.

이 춤에서 댄서들은 눈으로 지각할 수 없을만큼 느린 과정을 돌본다. 이들의 돌봄에는 아무런 이유도 없다. 이들은 인정받으려는 욕망 없이 무심히 춤을 추고 춤을 돌본다. 그렇게 안무는 무언가를 싣고 나아가는 배가 되고, 우리가 풍경에 다가갈 때 기댈 수 있는 것이 된다.

서울에 있는 두 명의 댄서와 베를린, 런던에 있는 두 명의 댄서가 춤을 통해 두 도시에서 동시에 진행될 안무를 완성한다. 이 동기화의 순간에 춤은 시각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며 관객은 두 춤을 동시에, 감각과 촉각으로 경험한다. 사회적 관계가 위협에 놓인 역사의 한 순간에, 이 춤은 춤이 공공의 것임을, 경험할 수는 있지만 결코 소유할 수는 없는 것임을 상기한다. 누구의 소유도 아니기 때문에 평평한 춤. 이 춤은 정중한 애도이며 누구든 나눌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다. 
만들고 참여한 사람들
시드니 반즈, 마텐 스팽베르크, 장수미, 최진한

음악
마테오 카스트로, 하상철

위촉
옵/신 페스티벌

후원
스웨덴예술위원회, 노르웨이예술위원회, 폰드 다슈텔렌데 쿤스테
Berlin, London, Seoul, Dance, 50 min

What if dance was like a song that you could hear from far away? What if dance was a gentle earthquake that could be felt as a vibration over distance? What if dance was like a wind that carries fragrances of tiny seeds, lifeforms, and care?

This dance is an attempt to dance together far apart, sharing movements as a way of connecting two places. It’s a dance that senses long-distance somatics and vibe with the endlessly slow undulations of the tectonic plates. It is a dance that like whales communicates through temperature layers in the ocean and that allows the dance to be a garden, inviting to spend time with plants and the setting sun.

Here dancers become caretakers for processes too slow for the eyes to comprehend, caring for no particular reason. Dancing and caring without the desire to be confirmed. Choreography thus as a vessel to carry something forth, something to hold on to when approaching a landscape.

Two dancers in Seoul will through the dance meet two dancers in Berlin, to complete a choreography taking place in two cities simultaneously. This synchronization departs dance from an ocular regime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dance at the same time as sensuous and haptic. At a moment in history where social relations are under threat, it emphasizes dance as something public, something we can experience but never own. Something that is nobody’s and through which we can be equal. This dance is an invitation to a gentle form of mourning; space and time anyone can share.
With and by
Sidney Barnes, Mårten Spångberg, Jang Su-Mi, Choi Jinhan

Music
Matteo Castro, HASC

Commissioned by
Ob/Scene Festival

Supported by
The Swedish Art Council, The Norwegian Art Council, Fond Darstellende Kunste

그들은 야생에 있었다they were in the wild

마텐 스팽베르크 Mårten Spångberg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축제 기간 중 매일
연재 페이지 ⟶

Everyday during the festival
Blog ⟶


베를린, 수행적 글쓰기

‹그들은 함께 있었다›는 ‘춤과 함께하기’, ‘떨어져 있지만 함께하기’의 또 다른 방식이다. 마텐 스팽베르크는 축제 기간에 걸쳐 매일 새로운 글을 쓰며 수행적 글쓰기라는 방식을 통해 축제에 참여한다. 춤과 예술이 할 수 있는 일, 예술과 생태계, 예술이 기술로 매개되는 현상 등에 관해 개인적인 성찰과 단상이 담긴다. 이 글은 처음부터 끝까지 오직 한국어로만 공개되며, 이로써 오늘날 국제 무용 현장에서 작동하는 위계를 재고한다.
글쓰기
마텐 스팽베르크

번역
이경후
Berlin, performative writing

They were in the wild is a form of being together with dance, of being together while separate. Mårten Spångberg will take part in the festival through performative writing, namely writing a short text every day. Although the specific titles remain unknown, the texts will be reflections on the role of dance and art, art and ecology, art through the mediation of technology, and so forth. The writings will be only published in Korean, reconsidering the structuralized forms of how artworks and discourses are circulated in the international dance scene.
Written by
Mårten Spångberg

Translated by
Lee Kyunghoo

굳굳마켓Good Good Market

김황 Kim Hwang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10.22 목 오후 8시
최종 방송 CH1 ⟶
최종 방송 CH2 ⟶
최종 방송 CH3 ⟶

10.22 Thu 8pm (KST)
Final Link CH1 ⟶
Final Link CH1 ⟶
Final Link CH1 ⟶


서울, 온라인 퍼포먼스, 총 80분
한국어

퍼포먼스 영상은 10.28 수 자정까지 동일 링크로 관람 가능 
굳굳마켓의 디자인 오브제들은 크라우드펀딩을 통하여 실제 구매 가능 (추후 텀블벅 링크 공지).

디자이너 김황은 실용 디자인과 비평적 퍼포먼스의 영역을 넘나들며 유쾌한 방식으로 현실에 침투하는 작품을 선보여 왔다. 신작 ‹굳굳마켓›에서 그는 미디어 게릴라 조직 오브나우 컴퍼니(OF NOW CO.)와 함께 한 편의 온라인 홈쇼핑 방송 즉, ‘라방’(라이브 방송)을 제작하여 오늘날 생산과 소비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기묘한 소동들을 풍자한다.

상생, 지속가능성, 마인드풀니스. 한때 누군가에게는 저항의 수단이었을 표어들이 순식간에 상품의 가장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둔갑하는 시스템 속에서, 작품은 되려 그 작동 방식을 재전용함으로써 탈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가치를 한껏 주입하여 기괴하게 팽창된 디자인 굿즈들이 작품의 주인공이다. 굿즈를 팔기 위해 쇼호스트가 선택하는 진정성 넘치는 멘트는 불편한 질문들을 제기한다. 그러나 부처님 손바닥 위에서의 탈출게임이 그렇듯, 이 질문들은 미디어 커머스라는 생태계를 겹겹이 감싸고 있는 거대한 구조물에 번번히 부딪친다.
Labang

Cast
조의진, 성봉근, 김승록

Concept & Direction
김황

Executive Producer
신진영

Creative Partner
안하늘

Screenplay & Script
안하늘

Lead Creative Assistant
강윤지

Visual Direction
노네임프레스

Sound Design
목소

Sound Recording & Mixing
목소

Set Concept
김황

Set Design & Construction
정승준

Cinematographer
이민

Editing
이민, 강윤지

Creative Support
나연우

Co-creation Workshop Facilitation
곽병국, 이진백, 서상욱

Creative Assistant
곽병국, 이진백, 서상욱, 장성원, 이산들

Documentation
곽병국, 이진백, 장성원

Stylist
최다희

Translation - English
김황

Goods & Crowd fundings

Concept & Direction
김황

Creative Partner
안하늘

Contents & Text
안하늘

Graphic Design
노네임프레스

Goods Artworks
노네임프레스, 이유빈, 하니(김하은), 만두(나희원)

Lead Creative Assistant
강윤지

Goods Creation
곽병국, 이진백, 서상욱

Photography
곽병국, 이진백, 장성원

New Gyo Nipple Band Song

Original Song ‹Gucci Gang› by
Lil Pump

Rap making by
목소

Lyrics by
안하늘

Support
서울문화재단
서울시
문화체육관광부
Seoul, Online Performance, 80 min in total

The performance video will be available on the same link until October 28 wed
The design objects of Good Good Market can be purchased through crowd funding (Tumblbug Link TBA)

Korean

An active product designer, Kim Hwang traverses the territories of industrial design and critical performance, adopting humorous ways to infiltrate reality. In his newest creation Good Good Market, he creates a ‘live e-commerce broadcast’ together with a media guerrilla group OF NOW CO., through which he satirizes the bizarre happenings surrounding production and expenditure in today's society.

Mutual growth, sustainability, mindfulness. Once slogans of resistance, today, these keywords are co-opted as the most charming ‘design’ of a product. Good Good Market re-appropriates this strategy in order to find a way out. The protagonists of this work are designed goods grotesquely inflated with social values. The earnest messages chosen by the show host to convince the consumer raise unsettling questions. And yet, these questions fail to find answers and constantly bounce off the thick layers surrounding the world of e-commerce.
Labang

Cast
Euijin Cho, Bongkuen Sung, Seungrok Kim

Concept & Direction
Hwang Kim

Executive Producer
Jinyoung Shin

Creative Partner
Haneul Ahn

Screenplay & Script
Haneul Ahn

Lead Creative Assistant
Yoonzee Kang

Visual Direction
NO-NAME(PRESS)

Sound Design
Morceau J. Woo

Sound Recording & Mixing
Morceau J. Woo

Set Concept
Hwang Kim

Set Design & Construction
Seungjun Jeong

Cinematographer
Min Lee

Editing
Min Lee, Yoonzee Kang

Creative Support
Yeonwoo Na

Co-creation Workshop Facilitation
Byungguk Kwak, Jinbeak Lee, Sangwook Seo

Creative Assistant
Byeongkuk Kwak, Jinbaek Lee, Sangwook Seo, Sungwon Jang, Sandeul Lee

Documentation
Byeongkuk Kwak, Jinbaek Lee, Sungwon Jang

Stylist
Dahee Choi

Translation - English
Hwang Kim

Goods & Crowd fundings

Concept & Direction
Hwang Kim

Creative Partner
Haneul Ahn

Contents & Text
Haneul Ahn

Graphic Design
NO-NAME(PRESS)

Goods Artworks
NO-NAME(PRESS), Yubin Lee, HANI(Haeun Kim), Mandoo(Heewon Na)

Lead Creative Assistant
Yoonzee Kang

Goods Creation
Byeongkuk Kwak, Jinbaek Lee, Sangwook Seo

Photography
Byeongkuk Kwak, Jinbaek Lee, Sungwon Jang

New Gyo Nipple Band Song

Original Song ‹Gucci Gang› by
Lil Pump

Rap making by
Morceau J. Woo

Lyrics by
Haneul Ahn

Suppor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Korea

장막curtain

남정현 Nam Junghyun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10.23 금 오후 6시
10.24 토 오후 6시

프로보크 서울(대선제분 영등포 공장)

20,000원

10.23 Fri 6pm
10.24 Sat 6pm

provoke seoul(Daesun Mill Factory)

20,000 KRW


서울, 퍼포먼스, 50분

‹장막›은 내부와 외부 사이의 틈에 몰두하는 퍼포먼스 작업이다. 극장에서 장막은 무대와 객석을 가르는 경계선이자 공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구분의 기제다. 장막은 그렇게 극장의 권력을 배분하지만, 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도 갖지 못한다. 그렇다면 틈새에 불과했던 장막이 오롯이 주인공이 되어 공간 전체를 뒤덮을 때, 공연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작품은 안과 밖이 무화되는 장막의 그림자 속에서 극장이 상정해왔던 일방향적 위계의 이면을 살핀다. 관객은 다가오면서 멀어지는, 쓰였다 지워지는 어둠 속 풍경들을 감각하며 보이지 않는 것들을 상상한다. 극장은 어떻게 내부와 외부를 나누는가? 그 경계에 섰을 때 우리는 무엇을 새롭게 발견하는가? 작품이 탐사하는 어둠은 극장의 의미 체계가 해체되는 곳인 동시에 무언가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잠재성으로 생동하는 영역을 열어준다.
연출
남정현

시노그라피
정대원

사운드 디자인
장진성

그래픽 디자인
양윤아

프로듀서
이소영 

후원
2019–2020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지원사업 MAP 선정작가

Seoul, Performance, 50 min

curtain delves into the thin gap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In a theater, the curtain is a border that divides the stage and the audience and mark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 show. Although it distributes certain powers in the theater as such, the curtain lacks any meaning by itself. If so, what if the curtain—previously just a gap in-between—expands as the sole protagonist of the show and covers up the entire space with its own shadow?

Through this darkness that erases the boundary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work examines the hierarchy a theater imposes. In the darkness, certain landscapes draw near and drift away, coagulate and dissipate, inviting the audience to imagine the invisible. How does a theater divide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What strange things do we discover at the border? The darkness this work probes opens up space where the semantics of the theater dissolve, where the infinite recurrence of creation and extinction takes place—a space that throbs with potentiality.

음 ———Hmmmm

황수현 Hwang Soohyun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10.27 화
오전 10시, 11시, 오후 3시, 4시
10.28 수
오전 10시, 11시, 오후 3시, 4시

덕수궁 정관헌

10.27 Tue
10am, 11am, 3pm, 4pm
10.28 Wed
10am, 11am, 3pm, 4pm

Deoksugung Palace, Jeonggwanheon


서울, 퍼포먼스, 45분

황수현의 신작 ‹음 ———› 은 정관헌(靜觀軒)이라는 공간이 함의하고 있는 ‘조용히 내다본다’는 행위를 조명한다. 바라본다는 시각적 감각과 저 너머를 내다본다는 예기적 감각 사이에서 안무가는 ‘본다’는 감각 행위의 의미를 반추한다.

‹음 ———›은 관객이 바깥 풍경을 내다보면서 해석의 과정을 지연하는 멈춤 상태에 머무를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함께 모여 무언가를 관람하고 의미를 찾는 과정이 잠시 정지된 이 상태는 막연하고 모호한 공백을 만들어낸다. 그 진공 속에서 관객은 불현듯 의미화 너머의 세계를 감지하기 시작한다.

오늘날 스크린이 아니라 ‘몸’으로 공연을 감각하는 행위는 감각적 진보와 도태 사이, 시각적 구체와 추상 사이, 과거의 향수와 미래의 가능성 사이를 부유한다. 그러나 이 유예의 상태는 곧 ‘내다보기’의 영역으로 내디딜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컨셉/안무
황수현

퍼포머
강호정, 김주영, 도윤승, 박유라, 신정민, 이현우, 황다솜

기술감독
김지명

음향 디자인
지미세르

그래픽 작업
백인경

사진/기록영상
이의록

의상디자인
임선열

프로듀서
박초아

프로덕션 매니저
김헌후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재)전문무용수지원센터

Seoul, Performance, 45 min

A new creation of Hwang Soohyun, Hmmmm sheds light on the act of ‘quietly looking ahead,’ implied by the name of the architecture in Deoksugung Palace, Jeonggwanheon(a house of quite viewing). Between the visual sense of looking at something, and the speculative sense of looking at something beyond, the choreographer reflects on the sensory act of looking.

Hmmmm guides the audience to contemplate the landscape surrounding the space by pausing the process of meaning-making. The acts involved in a performance—gathering, watching, understanding, interpreting—are put off for a short while, creating an opaque void. In this vacuum, the audience starts to sense a world beyond signification all of a sudden.

The act of experiencing a performance through a ‘body’ rather than a screen oscillates between sensorial progress and regression, between the concrete and abstract dimension of visibility, between the nostalgia of the past and th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This state of suspension becomes an entry point to the realm of ‘speculation.’

노 맨 IINo Man II

호추니엔 Ho Tzu Nyen

Image ⓒ  Courtesy of and Edouard Malingue Gallery and Galerie Michael Janssen

10.23 금–11.22 일
오후 6시–9시

덕수궁 준명당

덕수궁 입장 티켓
1,000원
월요일 휴관

10.23 Fri–11.22 Sun
6–9pm

Deoksugung Palace, Junmyundang

Deoksugung Palace Ticket
1,000 KRW
Closed on Mondays


싱가포르, 영상 설치, 360분

“인간은 섬이 아니다.(No Man is an Island)”
영국의 시인 존 던이 1624년에 쓴 시의 한 구절이다. 하나의 서사와 정체성으로 규정될 수 없는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비평적으로 추적해온 싱가포르의 예술가 호추니엔은 ‘그 누구도 혼자서 온전할 수 없으며, 모든 이는 대륙의 한 조각’이라는 존 던의 말에서 동남아시아의 혼재된 역사를 떠올린다.

‹노 맨 II›에서는 온라인 오픈 소스에 기반하여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50여 개의 형상들이 거울 위를 유령처럼 떠돈다. 짐승, 수인(獸人), 사이보그, 해부학 모형 등, 출처가 모호한 형상들은 인류가 오랜 역사에 걸쳐 만들어낸 상상 속 존재들로, 어떤 것은 신화적 원형을 드러내고, 또 어떤 것은 문화적 스테레오타입을 반영한다. 지구적 집단상상을 체현한 이 형상들은 작품 속에서 브레이크 댄스를 추거나 좀비처럼 어정거린다. 자신의 겉모습과 일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움직이며 그 기괴한 부조화를 통해 정체를 확정할 수 없는 낯선 존재로 끊임없이 둔갑한다. 천태만상 틈에 비치는 관객의 모습은 혼종적인 존재들과 공존하게 될 인류의 미래를 예시한다.

공동기획: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Singapore, Video Installation, 360 min

“No Man is an island” This is a verse from the prose poem “Meditation XVII – Devotions Upon Emergent Occasions” by the 17th Century English “Metaphysical” poet, John Donne. Ho Tzu Nyen has been developing an ongoing project around the question of what constitutes the unity of Southeast Asia. Donne’s verse—“no man is an island, entire of itself; every man is a piece of the continent, a part of the main”—invokes the complex hybridity of Southeast Asian history.

No Man II brings together 50 different figures, all digitally created from online sources. Here, a ghostly choir assembles—an unruly gathering of figures of uncertain origin. They range from animals to human-animal hybrids, cyborgs and anatomical figures; some of which are manifestations of mythical archetypes, while others are cultural stereotypes. They may be a small sampling of humanity’s figurative imagination across history. These figures are animated by movements incongruous with their appearances—being of an ambiguous nature and ranging from innocuous human behavior like loitering, to iconic movements such as breakdancing, or the convulsive and stuttering advance of zombies. This strange mismatch turns the figures into uncanny entities in endless metamorphosis, forecasting a peculiar coexistence of hybrid beings in the future.
Direction, Compositing
Ho Tzu Nyen

Text Adaptation from
John Donne, Meditation XVII – Devotions Upon Emergent Occasions

Installation Co-design Production Management
ARTFACTORY

3D Animation
Mimic Production

Additional Sound mix
Jeffrey Yue, Lee Yew Jin

Soloists
Vindicatrix, New Noveta (Ellen Freed & Keira Fox)

Craig Boorman Chorus
Simon Cleary, Morag Keil, Georgie Nettell, Armin Suljic, Gili Tal Cory, and others

Composition
Vindicatrix

Co-curation: Ob/Scene Festival, Art Plant Asia 2020

공상-(no)-과학Sci-(no)-Fi

로이스 응 Royce Ng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10.23 금–11.22 일
오전 10시–오후 6시

덕수궁 함녕전 행각

덕수궁 입장 티켓
1,000원
월요일 휴관

10.23 Fri–11.22 Sun
10am–6pm

Deoksugung Palace, Hamnyeongjeon Haenggak

Deoksugung Palace Ticket
1,000 KRW
Closed on Mondays


홍콩, 홀로그램 설치, 12’27’’
한국어/영어

‹공상-(no)-과학›은 중국의 4차 산업혁명을 탐구하는 로이스 응의 최신 작품이다. 작품은 ‘알고리즘’이 구현할 미래의 세계상을 상상하며 중국의 기술 발전에 접근할 수 있는 대안적인 서사를 제시한다. 중국은 알고리즘과 홍채인식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신용체계’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개인의 신용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혜택이나 불이익을 주는 제도다. 시스템이 완전하게 작동되기 전 단계인 지금, 로이스 응은 아직은 우리에게 대안 세계를 상상할 수 있는 공간이 남아있다고 말한다. 사이버펑크의 예지적이고 초월적인 태도로 미래도시를 재건해 본다면 어떨까? 아직 비틀 수 있는 사회정치적 틈은 어디에 있을까? 시스템이 완전히 닫히기 전, 우리가 사변을 통해 써내려 갈 수 있는 유토피아의 시나리오는 무엇일까?

실존하는 뉴스 앵커의 이름을 따서 추하오라는 캐릭터로 구현된 알고리즘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미래의 에피소드들은 테크노-오리엔탈리즘의 악몽과 알고리즘 기반의 유토피아 사이를 넘나든다. 각각의 에피소드는 공상과학처럼 들리지만 이미 오늘날 중국 사회가 내재하고 있는 가능성들과 긴밀히 연결되며 현재에 도전한다. 홀로그램의 사이버펑크 미학과 몽환적인 베이퍼웨이브 음악은 유토피아의 가능성을 아낌없이 소비하도록 관객을 유혹한다.

공동기획 및 재제작 커미션: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Hong Kong, Hologram Installation, 12’27’’
Korean/English

As part of an ongoing body of research and exhibitions on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China and its intersection with aesthetic practice, Sci-(no)-Fi is an exercise in the speculative world-making, providing alternative narratives for reading technological progress in China and the algorithmic development of the Asian city which might offer utopian challenges to the present.

At present, China is creating the world's largest digital police state, deploying technologies like iris, face and gait recognition. The social credit system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is developing relies on data gathered on the population to instantly reward and punish individuals based on their political behavior. The social credit system is still not fully operational. There is still space to imagine alternate worlds. Are there still socio/political fissures to be prised apart, bifurcations leading to unlikely urban utopias that are still possible before the system formally coalesces and is it worthwhile to speculate what these scenarios might be? 

Sci-(no)Fi is a holographic projection of Qiu Hao, the human personification of the master algorithm, a figure which mutates, grows and disappears into clouds of data that re-materialize as techno-orientalist nightmares and Asian algorithmic utopias and cityscapes. Cyberpunk’s aesthetic potential is repurposed through vaporwave to produce a soft power offensive that seduces the audience into consuming the utopian possibilities this work proposes.
Direction
Royce Ng

Text
Mi You & Royce Ng

Dramaturgy
Mi You

Sound Design
John Bartley

Animation
Zheng Mahler Studio

Technical Direction
Michele Piazzi

Production
Stéphane Noël

Re-adaptation commissioned by
Ob/Scene festival x Art Plant Asia 2020

Co-curation: Ob/Scene Festival, Art Plant Asia 2020

학생의 몸Student Bodies

호루이안 Ho Rui An

Image ⓒ  Courtesy of the Artist

10.23 금–11.22 일
오전 10시–오후 6시

덕수궁 함녕전 행각

덕수궁 입장 티켓
1,000원
월요일 휴관

10.23 Fri–11.22 Sun
10am–6pm

Deoksugung Palace, Hamnyeongjeon Haenggak

Deoksugung Palace Ticket
1,000 KRW
Closed on Mondays


영어/한국어
싱가포르, 영상 설치, 26’30’’

학생의 몸이라는 형상을 통해 아시아의 자본주의적 근대화 역사에 접근하는 영상 작품이다. 호루이안은 ‘학생’을 집단인 동시에 개별적인 존재로, 은유인 동시에 실체로 간주하며, ‘기적적인’ 발전과 위기, 회복의 시기를 연이어 겪어 온 아시아의 ‘몸 정치’를 대변하는 존재로 상정한다.

정치학자 차머스 존슨은 전후 일본을 미국이 보는 ‘자본주의 최고의 모범생’이라 표현했다. 하지만 다음 순간 이 학생은 길거리에 쓰러진 시위 학생의 시체로 변해 있다. 학생의 몸은 아시아의 매 역사적 변곡점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환생하며 통념적인 역사 분석 방식을 전복한다. 이 작품은 학생들이 겪어 온 공포스럽고도 격렬한 변화를 자막 없이는 이해될 수 없는 얼굴없는 ‘유령들’의 목소리로 이야기한다.

학생의 몸이라는 기표는 상징적인 변화를 겪을 때마다 교조주의와 변증법 사이를 오간다. 그 굴곡 속에서 학생은 그들을 만들어내는 교육 시스템의 화신이자 그 시스템의 모순이 된다.

공동기획: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English/Korean
Singapore, Video Installation, 26’30’’

Student Bodies is a work of pedagogical horror that approaches the fraught history of capitalist modernity and radical culture in East and Southeast Asia through the figure of the student body. Beginning with the students of Satsuma and Choshu from Bakumatsu-era Japan, who were the first students from the country to study in the West, the work considers the student body as both collective and singular, metaphor and flesh, standing in for the body politic of the region across the successive periods of “miraculous” development, crises and recoveries through to the present day.

The “star capitalist pupil” of the United States, as Chalmers Johnson said of Japan in the postwar period, becomes in the next moment, the dead student protester on the streets, with each reincarnation exploding established analytical frameworks based on class, culture or the nation-state. Such monstrous transformations of the student body through history are given voice by unseen “ghosts” whose utterances are comprehensible only through the subtitles. 

With each turn of the student body as a carnal signifier, the film attends to the didactic/dialectic rhythms that shape up the student to become both the embodiment of the pedagogical system that produces it and its contradiction.
Directed by
Ho Rui An

Korean subtitles
Provided by Asia Culture Center

Co-curation: Ob/Scene Festival, Art Plant Asia 2020

화상 세미나

정/동/사/물

Image (c) Yuk Hui 『Recursivity and Contingency』(2019)

화상 세미나 정/동/사/물
10.29 목
오후 7시–10시 30분

정동1928 아트센터

연사
육후이, 고쿠분 고이치로, 이정우, 마텐 스팽베르크

질의
이승현, 박성관, 김남시, 김성희

예약 링크 오픈
10.24 토 오후 8시
Web Seminar Chronicle of Every Thing
10.29 Thu
7pm–10:30pm

Jeongdong 1928 A&C

Speakers
Yuk Hui, Kokubun Koichiro, Lee Jeongwoo, Mårten Spångberg

Questioners
Lee Seunghyun, Park Sungkwan, Kim Namsi, Kim Seonghee

Reservation Link Opens
10.24 Sat 8pm


해외 석학 화상 세미나 ‹정/동/사/물›은 인간중심적 사유에 근거한 서구문명이 팬데믹과 인류세 등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이 아닌 것들과의 공존을 위해 세계 각국의 사상가들의 사유와 대안을 듣고자 한다.

중국의 육후이는 기술에 대한 중국의 전통적 사유를 사례로 코스모테크닉스라는 개념을 제시하는 한편, 디지털 대상의 규명과 기계와 생태의 모호한 경계등을 문제시하면서 기술에 대한 사유를 이어간다. 일본의 고쿠분 고이치로는 행위의 주체보다 사건으로서의 행위가 먼저 있었던, 주체도, 자유의지도 존재하기 이전의 세계를 그리며, 한국의 이정우는 『장자』 「제물론」에 나오는 도추(道樞, joint of way) 개념을 이접적 종합(disjuctive synthesis)개념을 매개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내재적 가능세계론과 타자되기에 대해서 논한다. 스웨덴의 안무가 마텐 스팽베르크는 최근 사변적 실재론적 사유를 무용 안무에 실제로 접목을 시도한다.
공동기획: 옵/신 페스티벌,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Chronicle of Every Thing is a web seminar for sharing the thoughts and suggestions of international thinkers in the age of pandemic and the anthropocene, having witnessed the crisi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based on on anthropocentric discourses.

The thinkers speculate on different ways of coexistence with non-human entities. By taking the Chinese traditional thinking as a start, Yuk Hui proposes the term Cosmotechnics to problematize the ambiguous boundaries between the mechanic and the ecological. Meanwhile, Kokubun Koichiro envisages a universe that pre-exists before the subject and the free will—a world where the event of the action precedes the subject of the action. Lee Jeong-woo reinterprets the concept of ‘joint of way’ mentioned in “The Adjustment of Controversies” by Zhuangzi via the notion of disjunctive synthesis. Choreographer Mårten Spångberg discusses about the links between his dance practices and the ideas of speculative materialism.
Co-curated by: Ob/Scene Festival, Art Plant Asia 2020